본문 바로가기
뉴스꺼리/화제꺼리

매머드 정말 복제가 가능할까? 황우석 박세필 희대의 소송 전말

by 끼리꺼리 2015. 7. 16.
반응형

황우석 박세필, 매머드 복제기술 법적 다툼…세계적 성과 두고 희대의 소송

 

 

 

 

 

 

 

국내 동물복제기술 분야의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황우석 수암생명공학연구원 박사와 박세필 제주대 교수가 매머드(맘모스) 복제에 필요한 핵심기술의 소유권을 두고 법적다툼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15일 검찰과 생명과학계에 따르면 황우석 박사는 지난달 18일 박세필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교수, 정형민 건국대 줄기세포교실 교수, 김은영 미래셀바이오 대표 등 3명을 횡령과 공갈미수 등의 혐의로 서울 남부지검에 고발했습니다.

시베리아의 얼음 속에 파묻혀 있던 매머드 조직에서 세포를 되살려 분화시킴으로써 매머드 복제에 가장 중요한 기술 확보에 성공했는데, 이 기술의 소유권이 서로에게 있다는 주장으로 요약됩니다.

검찰은 황우석 박사를 상대로 고소인 조사를 마쳤으며, 14일에는 정형민 교수와 김은영 대표에 대한 피고소인 조사를 벌였습니다. 박세필 교수도 조만간 조사가 이뤄질 것으로 검찰은 전망했습니다.

생명과학계는 두 복제 전문가의 소송에 '과학계 희대의 사건'이라며 아쉬움을 표현했습니다. 논문으로 발표해 과학적 평가를 먼저 받을 일이지, 서로 소유권을 주장할 일이 아니라는 분석입니다.

 

황우석 박사에 이미 잘 알고 있는 분이며,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분이죠..

 

박세필 교수는 어떤 분일까요..

 

 

제주대학교 줄기 센터장으로 있는 박세필 교수는 제주흑우 복제, 제주 흑돼지로 불치병 치료제 관련 연구

등 동물 복제에 대해서 꽤 유명한 분입니다.

 

농림부장관상도 수상했구요.

 

암튼 서로의 공적 싸움도 중요하지만 과학적으로 평가 받고 메머드 복제가 실현 되었으면 좋겠네요.

 

 

메머드 복제에 관한 해외 사례 하나 올립니다.

 

매머드 유전자 코끼리 이식 소식이 전해져 화제있다.

 



최근 영국 매체 '텔레그라프' 등 복수의 언론에 따르면 해외 연구진이 매머드를 부활 시키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미국 하버드대학 연구진은 북극에서 발견한 매머드의 DNA 14종을 현존하는 코끼리의 몸에 주입해 고대 매머드와 가장 유사한 종(種)을 부활시킬 예정이라고 발표 했다. 매머드 유전자를 이식한 코끼리의 이름은 ‘Crispr’이다.

약 480만 년 전부터 4000년 년 전까지 존재했던 포유류인 매머드는 마지막 빙하기에 멸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머드는 현대 코끼리의 조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매머드 유전자가 현대의 코끼리 유전자와 어떻게 결합해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고대 생물의 비밀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하고 있다.

황우석 박사도 러시아의 한 대학 연구소와 매머드 복제 공동연구를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황우석 박사가 이끄는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은 3월 러시아 사하 공화국 북동연방대학과 매머드 복제를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 연구원은 러시아에서 매머드 조직을 넘겨받아 코끼리를 이용해 복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매머드 유전자 코끼리 이식 소식과 함께 무려 5억 년 전 생명체 복원 소식도 눈길을 끈다.

사이언스 등 해외과학매체들은 최근 ‘새롭게 발견된 지구에서 가장 큰 바다 생명체(Newly discovered sea creature was once the largest animal on Earth)’라는 기사 제목으로 5억 년 전 바다 생명체 복원 소식을 전했다.

5억 년 전 바다 생명체 복원의 주인공은 신화 속 헬멧을 쓴 바다의 신으로 이름 붙여진 아에기로카시스(Aegirocassis)가 주인공이다. 아에기르(Aegir)는 노르웨이 신화에서 바다의 신을 일컫으며, 카시스(cassis)는 라틴어로 헬멧을 뜻한다.

아에기로카시스는 새우의 일종으로 그 길이가 2m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부 모로코 언덕에서 4억8000년 전 것으로 판단되는 바위에서 과학자들은 수십여 개의 화석 파편을 분석했다.

피터 반 로이 예일대 고생물학자는 “완전하게 펼치면 길이가 약 1.6m까지 이른다”며 “불완전한 부분을 채운다면 그 길이는 2m에 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에기로카시스는 아노말로카리스과(Anomalocaridid)에 속하는 종으로 라틴어로 ‘이상한 새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피터 반 로이 교수는 “아노말로카리스과는 이른바 여과 섭식 동물”이라고 설명했다. 여과 섭식 동물(filter feeder)은 물속의 유기물·미생물을 여과 섭취하는 동물을 말한다.

과학자들은 이번 발견을 통해 여과 섭식성과 거대증에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진단했다. 이른바 여과 섭식 동물들이 바다 속에서 플랑크톤 등을 ‘폭풍 흡입’하면서 덩치를 키웠을 것이란 설명이다.

반응형

댓글